반응형
글을 시작하며
이번 글에서는 스타트업의 투자 사이클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합니다. 스타트업 Series A 유치, B유치와 같은 말들을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이번 글은 이와 같은 Series의 의미가 무엇인지, 각 단계별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타트업 투자 사이클
반응형
위의 그림을 보시면 스타트업의 펀딩 사이클이 보기 쉽게 나와있습니다. Seed Level(또는 Valley of Death)부터 Series A, B, C, Mezzanine, IPO까지 나와있습니다. 각 단계별로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작성해보겠습니다.
Pre-Seed Funding
Stage | Pre-Seed |
기업 가치 | ?? |
Main Source of Funding | 창업자 본인, 친구 및 가족, Incubator, 엔젤 투자자 |
Focal Point | 사업 컨셉 증명 및 프로토타입 제작(Proof of Concept or Prototype) |
투자 규모 | 수백만원 ~ (??) |
특징 | - 스타트업의 가장 초기 단계(모든 스타트업이 해당하는 것은 아님) - 팀 구성 및 스타트업 운영을 시작하는 단계 → 따라서 대부분의 돈은 팀 구성 및 비즈니스 기반 확보에 쓰임 - 대부분 본인의 자금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투자 규모는 수백만 원에서 몇억의 규모까지 다양 |
Seed Round
Stage | Seed Round |
기업 가치 | ~ 40억 |
Main Source of Funding | 엔젤 투자자, Incubator |
Focal Point | Product Market Fit - 좋은 시장을 찾고, 제공하려는 서비스 또는 제품이 그 시장에 적합한지 정확한 이해 또는 설명이 필요 |
투자 규모 | 수천만원 ~ 수억원 |
특징 | - 스타트업이 거치는 공식적인 첫 번째 펀딩 단계 - Pre-Seed 단계에서 비즈니스 기반을 마련했다면, 지금부터의 펀딩액은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펀딩 - Valley of Death라는 말이 있음. Series A에 가기 전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망하기 때문에 생긴 용어 |
Series A Funding
Stage | Series A |
기업 가치 | ~ 300억 |
Main Source of Funding | VC(Venture Capital), Accelerator |
Focal Point | Revenue Growth (수익 창출 및 성장) |
투자 규모 | ~ 40억 |
특징 | - 스타트업이 본격적으로 수익기반 성장에 집중하는 단계 - 기존 비즈니스 성장에서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및 실행에 투자하는 단계 → 구체화를 통해 보다 정확한 수익 구조 및 잠재 시장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증명하여야 함 - 마케팅, 영업 프로세스의 구체화를 통해 타겟 고객들(잠재 고객까지 포함)을 구체화시켜 수익 성장 |
Series B Funding
Stage | Series B |
기업 가치 | ~ 600억 |
Main Source of Funding | VC(Venture Capital) |
Focal Point | 사업 확장(채용을 통한 규모 확장, 회사 인수를 통한 비즈니스 전개 등) |
투자 규모 | ~250억 |
특징 | - Series A단계를 통해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성을 어느 정도 증명한 단계 - 많은 회사가 이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Series C Funding을 유치하기 위해 기존의 아이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업 확장 진행 |
Series C Funding
Stage | Series C |
기업 가치 | ~1500억 |
Main Source of Funding | VC(Venture Capital), 해지펀드, 사모펀드, 은행, 금융기관 |
Focal Point | 투자자들에게 확신을 줄 수 있는 단계 |
투자 규모 | ~수백억 |
특징 | - 이미 시장에서 해당 Start-up의 가치를 증명한 상태 →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금융 기관 및 은행에서 투자를 진행 - 그 다음 단계의 Series로 넘어가거나 또는 IPO를 눈앞에 둔 단계 → Series C Funding을 유치하기 위해 기존의 아이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업 확장 진행 - 투자 금액은 비즈니스의 확장 및 새로운 연관 사업을 발굴하는데 쓰임 |
글을 마치며
이번 글에는 스타트업의 투자 단계에 대해서 적어보았습니다. 설명에는 Series C부터 적었으나, 보통 Series D, E ,F 더 나아가 J, K까지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장을 할 수도, 유니콘 데카콘으로 남을 수도 있기 때문에 Series C 이후의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스타트업의 생태계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투자 규모도 달라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시리즈별 투자규모 및 메인 투자처의 경우는 달라질 수 있으니,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비즈니스 > 스타트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이란?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0) | 2021.11.28 |
---|---|
[스타트업]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 이란? -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2) | 2021.11.24 |
[스타트업]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이란? - 린 스타트업 정의 (0) | 2021.11.24 |
[스타트업] 스타트업 (Startup) 이란 - 스타트업의 정의 (0) | 2021.10.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