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스타트업

[스타트업]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이란? - 린 스타트업 정의

by EARL_ 2021. 11. 24.
반응형

스타트업-스타트업이란-스타트업정의-startup-린스타트업-lean-startup-린스타트업이란-린스타트업정의

글을 시작하며


린 스타트업, 린 경영방식, 린 식스시그마 등 현업에서도 린(Lean)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여러 단어들을 볼 수 있습니다. Lean을 사전에서 검색해보면 나오는 여러 가지 의미 중 군살이 없는 이라는 의미가 있는데, 이 의미가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Lean이라는 단어와 가장 큰 연관이 있는 것 같습니다.기존 방식을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려고 한다는 뜻으로 대충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중 린 스타트업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의 주관적인 의견들도 많이 반영이 되어있기에 이 점 참고 바랍니다.

린 스타트업 이란?


린 스타트업이라는 단어는 에릭 리스(Eric Ries)가 처음으로 제시한 스타트업의 경영 전략입니다. 에릭 리슨는 린 경영방식에서 린 스타트업의 힌트를 얻었고, 린 경영방식은 도요타의 린 생산방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도요타의 린 생산방식이란 7개의 낭비(불량, 재고, 과잉생산, 가공, 동작, 운반, 대기)를 제거함으로써 리드타임 및 리스크를 최소화하며, 최고의 품질과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가지게 해 준 방법입니다. 이러한 생산방식을 통해 도요타는 세계 최고의 자동차 기업 중 하나가 될 수 있었습니다. 

 

낭비의 최소화가 핵심인 도요타 생산방식처럼 에릭 리슨은 본인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린 스타트업을 설명하였습니다.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린 스타트업의 핵심이며, 이러한 위험은 최소한의 요건을 가진 제품(MVP : Minimum Viable Products), 개발과정에서의 지속적인 학습(Consistently Learning throughout the development process) 및 끊임없는 실험(Experimenting Constantly)에 의해 최소화된다고 언급하였습니다.

 

피드백(Feedback)


출처: http://www.se2u.com/sestory/2569

긴 내용은 아니지만 굳이 소제목으로 피드백(Feedback)을 넣은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에릭 리스의 린 스타트업이 성공하기 위한 필수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위의 제품 개발과정을 보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제품에 대한 수정은 점점 힘들어지게 됩니다.초기에 방향을 제대로 잡지 못하게 되면 마지막에는 제품 변경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린 스타트업 방식은 사업의 초기단계에서 고객의 피드백(Feedback)을 철저히 반복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는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고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반응형

Build, Measure, Learn


위의 그림에 나와있듯 린 스타트업은 Build - Measure - Learn 의 끊임없는 순환과정을 통해 제품 및 서비스를 완성하게 됩니다.

 

Build

Build 단계에서 스타트업의 목표는 본인들의 여러 가정들의 합리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 또는 최소한의 제품(Bare Minimum Product)을 가능한 빨리 만드는(Build)하는 것에 있습니다. 또한 이 단계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가 어떠한 해결책을 요구하는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에릭 리스는 Build 단계는 Conducting Unit Tests, Usability Tests, Refactoring, and Cloud Computing과정을 포함하는 단계라고 언급하였습니다.

 

Measure

Measure 단계에서 스타트업은 Build 단계에서 제시한 여러 가정 및 가설에서 나아가 실제 진행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의사결정은 Data Analysis(피드백 분석), Data Organization(피드백을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 정리), 및 Data Presentation(분석한 내용을 팀 내 공유) 단계에 의해 이뤄집니다. 에릭 리스는 Measure 단계를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Split Tests, Real-time Monitoring, Funnel Analysis, Cohort analysis, 그리고 Search Engine Marketing과 같은 활동을 수행하기를 추천하였습니다.

 

Learn

위의 단계를 계속해서 반복함으로써 스타트업은 고객들의 피드백에서 나온 데이터를 통해 학습(Learn)하게 됩니다. 이렇게 학습된 내용을 토대로 스타트업은 본인들이 시장에 출시할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작하게 됩니다.  

글을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린 스타트업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에릭 리스의 린스타트업의 핵심은 MVP를 빠르게 제작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품 및 서비스를 제작하는 것입니다. 비교적 생존 주기가 짧은 스타트업에 있어 린 스타트업은 꽤 괜찮은 경영방식입니다.

 

하지만 린 스타트업은 어디까지나 방법 중의 하나일 뿐입니다. 요즘 들어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에서 고객의 관점에 집중을 하고 이 때문에 린 스타트업의 경영방식을 강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린 스타트업 방식은 생각처럼 만능이 아니며 완벽한 이론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초기단계에서 피드백의 반영은 자칫 서비스와 제품의 혁신성을 망칠 수 있고, 방향성을 모호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린 스타트업의 경영방식을 만능이 아닌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하고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